사람이름 뜻풀이사람이름 뜻풀이

Posted at 2008. 9. 25. 21:27 | Posted in 한글 잡답

예전 홈페이지에 있던 자료가 있어 블로그에 올려 봅니다.

김슬옹/김불꾼/신연희, 1994, 한글이름 사전(미래사, 640쪽)에서 / manname.hwp

[책머리말]

- 우리는 왜 이런 책을 펴내게 되었나

金庸性, 金世中
김용성, 김세중
김슬옹, 김불꾼

이름을 첫번째 표기(金庸性,金世中 )로 자랑스럽게 즐겨 쓰던 시절이 있었다.
이름을 첫번째 표기(金庸性,金世中 )로 쓰는 것이 어찌나 부끄러웠던지 공문서 작성할 때마다 분노를 느끼던 시절이 있었다.
그래서 두번째 이름으로만 서류를 꾸미곤 했는데 서류 담당자들은 첫번째 표기를 강요하곤 했다. 그래서 아예 한자가 없는 세번째 표기 이름으로 바꾸었다.
그러니 그 누구도 한자로 표기하지 않았다고 탓하는 사람이 없었다.

우리는 우리 글자(한글)를 세계 최고의 과학적 글자로 추켜 세우면서 그래서 글자 기념일까지 가지고 있으면서 가장 우리다와야 할 이름을 한자로 짓고 한자로 즐겨 표기하는 이상한 나라에 살고 있다. 더욱 이상한 것은 그러한 모순을 모순이라 인식하지 못하는 풍토에 있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우리의 기나긴 역사에서 한자로 이름을 짓는 방법이 일반화 된 것이 고작 100년도 안 되는데 그것이 대단한 전통인냥 떠받들고 있다. 가장 대중적이어야 할 신문을 보면 이런 한심한 현상은 더욱 가관이다. 그들은 한글로 표기를 원해도 애써 한자로 바꾼다. 그런 작태의 바탕을 보면 읽기 힘든 세로쓰기에 한자를 섞어 쓴, 일본 신문을 열심히 모방한 답답한 모습이 보이고 그 뒷면을 보면 기득권층의 도도한 보수 물결을 읽을 수 있다.

우리는 순우리말 이름의 소중한 전통을 되살리면서 이름이 이름다운 구실을 하는 세상을 앞당기기 위해 이 책을 엮었다. 한글 이름 짓기를 좀 더 과학화시켜 우리들의 일상 생활에서 편안하게 다가오게 하기 위함이다. 물론 이러한 노력은 엮은이들이 직접 참여한 대학생 한글 운동 모임과 한글 이름 펴기 모임 등의 빛나는 업적이 있었다. 특히 서울대 국어운동 학생회의 ‘고운이름 자랑하기 대회’는 한글이름이 널리 퍼지는 기폭제 구실을 하였고 배우리님의 ‘한글 이름 고운 이름(해냄 출판사)’과 밝한샘님의 ‘아름나라 ’는 한글이름이 널리 체계있게 퍼지게 하는 소중한 디딤돌이 되었다. 이밖에 많은 분들의 앞선 업적을 대폭 수용하여 또 다른 방법으로 한글이름의 대중화를 꾀하고자 한 것이다.

한글이름에 관한 여러 논의를 이론화시키고 한글이름 짓기를 말만듦법(조업법) 차원에서 과학화시키며 기존 이름을 수집하여 그러한 이론을 검증하였고 마지막으로 실용성을 높이기 위해 순우리말 목록을 모아서 제시하였다. 뜻풀이가 없어 이상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지 모르나 이런 목록은 목록 나름대로 그 값어치가 있다. 곧 이름을 지을 때 그 두꺼운 사전을 모두 검색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러한 목록은 그러한 검색이 가능하다. 그러면 뜻풀이를 모르는데 검색이 무슨 소용이 있느냐고 되물을 것이다. 그러나 토박이말의 장점은 한자말와는 달리 직관이나 느낌에 의한 접근이 쉽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름이 뜻도 중요하지만 그 보다는 대개 소리‧형태에서 출발하므로 검색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검색하다가 ‘옹골차다’라는 말이 주는 느낌이 마음이 들 경우 형태는 일단 통과한 것이므로 국어 사전을 다시 찾아 확인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모든 이름을 지금 당장 토박이 이름으로 바꾸거나 짓자는 것은 아니다. 최소한 한자로는 표기하지 말자는 것이다. 또한 궁극적으로는 한자의 도움이 없이 이름을 짓자는 것이다. 가장 우리다워야 할 이름을 좋은 제나라 글자를 가지고 있으면서 남의 나라 글자(한자)로 표기하는 나라는 우리나라 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면서 한글이 우수한 글자니 과학적인 글자니 입에 침이 마르도록 칭찬을 하는 웃기는 지식인들이 많으니 이 얼마나 한심스러운 일인가?

이제는 제법 한글 이름에 대한 사람들의 눈썰미가 좋아졌지만 실제로 짓고 호적에 까지 올리는 사람들은 그렇게 많은 편이 아니다. 실제 한글 이름이 좋다고 생각하면서 그렇게 못하는 데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하나는 집안 어른들의 반대이고 또 하나는 실제 지으려고 해도 어떻게 지을지 몰라 그런 경우이다. 물론 뒷쪽의 경우 “한글 이름펴기 모임”이나 이쪽의 전문가들에게 의뢰해서 하면 되지만 그 또한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전문가가 많은 것도 아니고 절차상의 여러가지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엮은이도 많은 사람들의 이름을 지어 주었지만 지을 때마다 여간 곤혹스러운 것이 아니었다. 그 짓는 방법이 정해져 있는 것도 아니고 어떤 자료를 가지고 어떻게 짓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 난감할 때가 많기 때문이다. 물론 배우리님의 “한글이름 고운이름”같은 훌륭한 책과 한글 이름 펴기 모임의 여러 훌륭한 자료가 있지만 이번에는 좀더 색다른 방법으로 그 길을 찾아 보고자 함이었다. 먼저 한글 이름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과학화시키고 실용성을 높이기 위해 순우리말 총목록을 싣게 되었다. 이밖에 다양한 전산 분석을 시도하였으나 실제 이름을 짓는데 꼭 필요한 정보만을 책에 싣기로 하였다. 책의 부피도 부피려니와 그밖의 자료의 효용성을 고려해서이다.

그리고 굳이 ‘사전’이란 이름을 붙인 것은 이 책 부피의 대부분(첫째 마당을 제외한 나머지)이 사전 형식을 지향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사전이라는 책의 주된 구실이라 할 수 있는 ‘효용성’ 극대화하였기 때문이다. 결국 첫째 마당은 넓은 뜻의 일러두기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짓기 사전’이라 함은 이름 사전으로서의 독특함과 실제 이 사전을 활용해 한글 이름 짓기가 활성화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반영한 것이다. 곧 둘째, 셋째, 넷째 마당은 모두 이름 짓기를 위한 재료들이며 첫째 마당은 그 재료들을 이용해 이름을 창조하기 위한 방법 틀이다.

위 자료들을 처리하는데는 많은 분들의 도움이 있었다. 자료 수집과 정리(전산화)를 도와 준 상명여대 우리말 연구회, 건국 대학교 한말글 사랑터, 서울대 국어 운동 학생회, 연세 대학교 말글컴과 국어운동 학생회, 서울 여상 학생들 등 여러 모임에서 도움을 주었다. 특히, 윤여창, 장석배, 김남균, 이윤규 군등은 자료 처리를 많이 도와 주었고 김경서, 최윤석 군등은 프로그램 개발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그리고 자료를 제공해 준 전화국 박 00님과 삼성 생명 홍보부 여러분의 고마움도 잊을 수 없습니다. 또한 끊임없는 격려로 힘을 주신 한글이름 펴기모임 여러분들과 특히 한글 이름의 참된 가치를 일깨워 주시고 여러가지로 이끌어 주신 배우리, 밝한샘 두 분께 특히 감사 드립니다.

끝으로 이 책의 기획을 도와 준 이기섭님과 불황 속에서도 고귀한 땀을 흘려 주신 미래사 김준묵 사장님과 편집부 직원들께 감사 드립니다.

4326(서기 1993년) 8월 30 일

내용은 첨부한 파일을 참고하세요.



//